회복사역패러다임

No image
완전주의 파트너 '미루는 습관'
완전주의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나는 이 일을 할 때 완전하게 할거야. 그러나 지금은 완벽하게 할 수 없을 것 같아. 그러므로 나는 이 일을 나중에 하겠어.” 완전주의자는 그 일을 연기한다. 그 일을 할 때 그는 완벽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게 힘들일 여력이 없다. 혼란스러운 역기가정에서 자란 성인아이는 아드레날린에 의해 흥분된 상태에 익숙해지게 된다. 그는 항상 긴장상태에 있는 것을 정상으로 느낀다. 모든 것이 너무 차분하고 ..
고병인목사2009-12-223112
No image
완전주의의 대가
완전주의란 마치 문 뒤에 있는 어떤 것을 가지려고 하는 것과 같다. 당신은 문을 열 때 방안에 어떤 값어치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문은 열기에 어려운 것이다. 당신은 잡아당기기도 하고 두드려 보기고 하면서 그 문을 열려고 땀 흘려 노력한다. 결국 당신은 그 문을 열지만 바로 뒤에 또 다른 벽돌담이 가로막혀 있는 것을 발견한다. 왜 완전주의는 성취되지 않는가?완전주의는 당신을 지치게 한다: 완전주의자들에게 있어서..
고병인2009-12-172909
No image
성인아이와 완전주의
누가 당신이 완전주의자가 되도록 부추겼을까? 아마도 그 사람은 선생님이었을지도 모른다. 아니면 부모님이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완전주의자가 되어라.”라고 말해야만 완전주의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부모나 당신에게 영향력이 있는 사람은 은연 중에 당신이 완전주의로 향하도록 반복해서 메시지를 보낼 뿐이다. 때때로 이런 메시지는 명백하게 부정적인 것이다. 그 외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메시지는 겉으로는 긍정적이지만 안으로는 부정적인 의미들을 숨기..
고병인2009-12-073274
No image
어린시절을 상실한 성인아이의 특성
첫째, 성인아이란 어떤 부분에 있어서 어른과 같이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아이다. 이들은 놀이 보다는 계획을 한다. 부모에 의해 양육을 받기 보다는 부모를 돌본다. 삶 가운데 자신만의 안전한 장소를 만든다(예: 컴퓨터, PC방 등). 너무 일찍 자신의 기본적인 필요들을 스스로 돌본다. 현실에 대한 자기 자신만의 관점을 발전시킨다. 자신의 두려움을 혼자서 감내한다. 둘째, 성인아이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어린 시절의 문제를 안고 있는 성인을 말한다...
고병인교수2009-12-011433
No image
어린 시절이 상실된 사람들
당신은 정서적 학대, 언어적 학대로 인해 어린시절을 상실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날 한 소년이 큰 기대를 가지고 아래층으로 달려 내려간다. 그것은 크리스마스 날에만 느낄 수 있는 기대였다. 그러나 어젯밤에 걸어놓은 자신의 양말 속에는 돌맹이밖에 없다. 다른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것은 그 아이가 너무나 말썽꾸러기이기 때문에 부모가 벌을 준 것이다. 그러나 그 벌은 아이에게 엄청난 상처를 준다. 그 아이는 평생을 그 기억으로 괴로워하게 된다. 이것..
고병인2009-11-181418
No image
어린 시절이 상실된 사람들
당신은 어린 시절이 되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는가? 어쩌면 당신은 에스컬레이터에 실린 가방이 시야에서 사라지듯이 당신의 어린 시절이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당신의 너무 일찍 성장했을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을 상실한다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것을 잃는 것이다. 그것은 장난감을 잃어버리는 것과 다르다. 어린 시절을 상실했을 때 당신은 당신 자신의 일부를 잃어버린 것이다. 어른이 된 다음에 다시 어린 시절로 돌아갈 수 있는가?..
고병인교수2009-11-101489
No image
즐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의 극복
먼저 즐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때 자신에게 물어 보아야 한다. 나는 누구를 의지하고 있는가? 당신의 하나님에 대한 관점을 다시 살펴보라. 성경이 말하고 있는 사랑의 하나님에게 당신 자신을 드려라. 두 번째, 즐기는 것에 두려움을 느낄 때 과거의 옷장을 깨끗이 비워라. 과거와 직면하라. 그것으로부터 도망치지 마라. 되돌아서서 과거와 직면하는 것이 치유의 출발점이 된다. 과거의 무엇인가가 당신으로 하여금 즐기는 것을 두려워하도록 가르쳤다. ..
고병인2009-11-031271
No image
생각의 하나님과 마음속에 느끼는 하나님
우리 모두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두 가지 방법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우리가 배운 하나님을 바라보는 이성적인 개념이다. 둘째는 하나님에 대한 정서적 혹은 마음속의 개념이다. 하나님에 대한 우리 마음속의 개념은 부모나 다른 권위 있는 중요한 타인의 인격을 반영하고 있을 수 있다.
「기억을 통한 정식치료」의 저자인 데이비드 A. 시멘즈는 이런 하나님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
고병인2009-11-031359
No image
즐기는 것에 두려움을 만들어내는 역기능가정
역기능가정은 가면을 쓰도록 부추긴다. 역기능가정은 감추어야 할 비밀을 가지고 있다. 가족들은 고통과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가면을 쓴다. 이런 가면은 성인이 되어서 가정을 떠났을 때에도 벗어버리기가 어렵다. 그는 계속해서 가면을 쓰게 된다. 그는 열심히 일한다. 그는 성공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성공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는 과도한 목표를 세워놓고 그것을 달성한 후에는 훌륭한 성취가 아니었다고 말한다. 목표를 성취한 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고병인2009-10-131244
No image
즐기는 것에 두려움 갖는 역기능 가정
역기능가정은 너무 많이 기다린다. 기다림은 역기능가정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당신은 더 나은 상황을 기다린다. 그러나 상황은 더 나아지지 않는다. 당신은 인생이란 기다리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당신은 앞으로 성공하기를 기다리고, 행복해지기를 기다리는 것이 실제로 그것을 경험하는 것보다 더 편안하게 된다. 당신은 즐거움을 경험하는데 익숙해지기보다는 기다리는데 익숙한 사람이 된다. 당신은 성공의 한 가운데 있는 것보다 성공의 가장자..
고병인2009-10-061222
No image
역기능가정은 즐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만들어낸다.
역기능가정은 즐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만들어낸다.
역기능가정에는 많은 위기가 발생한다. 만약 역기능가정이 알코올 중독자의 가정이라면 위기는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마실 때 발생한다. 그러나 때로는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마시지 않고 있을 때 발생할 수도 있다. 그가 정상일 때보다 술에 취해 있을 때 다루기 쉬운 사람일 수도 있다. 만약 도박중독자가 있는 역기능가정이라면 위기는 금전적인 것일 수 있다. 화를 내는 사람이 있는 역기능가정이라면 전..
고병인목사2009-09-231355
No image
수치심의 극복: 영적으로 정결하라
처음에 당신은 너무나 무거운 수치심과 죄책감의 짐을 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수치를 당신 자신의 것과 구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해결의 열쇠는 당신의 모든 수치심을 주님의 발 앞에 내려놓고 주님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하나님, 저의 수치심을 처리해 주시기 원합니다. 주님께서 그것을 가져가 주시기 원합니다. 저에게는 치유가 필요합니다.”만약 당신이 수치심에 기반을 둔 정체감을 가지고 있다면 이 시점에서 당신은 만약 하나님 앞으로 나아..
고병인2009-09-161438
No image
수치심의 극복:수치심에 대해 이야기하라
영적인 치유와 정서적 치유를 위하여 도전해야 할 부분은 다른 사람이 당신에게 심어준 수치심과 당신이 스스로 만든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그 두 가지의 수치심 모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당신이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게 심어준 수치심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 하나님은 당신이 수치심으로부터 자유함을 얻기 원하신다. 하나님은 당신이 치유받기를 원하신다. 하나님..
고병인2009-09-161442
No image
만약 우리들이 역기능 가정에서 자랐다면 아직도 과거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충동적인 행동을 고치기 위해서 먼저 필요한 것은 어린 시절의 아픔을 인정하고 그것을 사실 그대로 느끼는 것이다.
만약 우리들이 역기능 가정에서 자랐다면 우리는 아직도 과거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충동적인 행동을 고치기 위해서 먼저 필요한 것은 어린 시절의 아픔을 인정하고 그것을 사실 그대로 느끼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부터 충동적인 성향을 고치는 일을 시작할 수 있다. 과거의 아픔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치유를 향한 구체적인 단계들로 나아갈 수 있다. 1단계, 하나님에 대한 마음의 느낌에 대해서 재검토 해 보라: 그리스도인들은 때때..
고병인2009-09-161433
No image
충동성을 극복하고 자유로워지기 위한 단계들
충동성을 극복하고 자유로워지기 위한 단계들
만약 우리들이 역기능 가정에서 자랐다면 우리는 아직도 과거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충동적인 행동을 고치기 위해서 먼저 필요한 것은 어린 시절의 아픔을 인정하고 그것을 사실 그대로 느끼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부터 충동적인 성향을 고치는 일을 시작할 수 있다. 과거의 아픔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치유를 향한 구체적인 단계들로 나아갈 수 있다. 1단계, 하나님에 대한 마음의 느낌에..
고병인2009-09-161346
No image
역기능 가정과 충동적 행동의 결과
찰스 디킨스는 두 도시 이야기에서 오랜 세월 동안 감옥에 갇혀 있었던 한 귀족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감옥 안에서 그는 구두를 만들었다. 오랜 후에 그는 감옥에 풀려나와 다시 높은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 그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다락방으로 올라가서 구두를 만들기 시작했다. 만약 우리들이 역기능가정에서 성장했다면 우리들은 위에 말한 귀족과 같을지도 모른다. 어리시절에 우리들은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였다. ..
고병인2009-08-111438
No image
역기능 가정의 충동적 행동들
심리학에서 '충동적'이라는 용어는 되풀이되는 행동을 지칭하고, '강박적'이라는 표현은 되풀이되는 생각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우리들은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는 것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동행을 방해하는 충동적 행동을 초래하는 지에 대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충동적 행동의 일곱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적 행동은 반복적이며 독특한 방법으로 나타난다: 충동적 행동은 똑같은 일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복적인 행동은 독특한 방..
고병인교수2009-07-291536
No image
역기능 가정에서의 자존감 상실
첫째, 역기능 가정은 부모들의 수치심을 자녀들에게 전이시킴으로 자존감이 상실된다: 가족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면서 높은 자존감을 갖기는 어렵다. 오랜 기간 부모에 대해 수치심을 느낀 후 자녀들은 수치심에 기반을 둔 자아 정체감을 갖게 되고 자녀들의 정체성 밑바탕에 놓이게 된다. 둘째, 역기능 가정은 자녀들에게 그들의 감정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가르쳐 자존감이 상실된다: 자녀들의 감정은 중독적/강박적 성격을 가진 부모의 감정에 의해 뒷전으로 밀..
고병인2009-07-211675
No image
역기능가정의 특징
지난 주까지는 12단계 회복의 영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 주부터는 역기능 가정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역기능 가정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충분한 자원을 동원할 수 없는 가정으로 그 결과 스트레스로 하여금 가정을 더 긴장시키고 부서지게 만드는 가정이다. 그러나 역기능 가정을 만드는 데 무슨 재앙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조금씩 쌓여서 이미 취약해진 가정단위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이미 건강의 상실보다는 대화의 상실..
고병인2009-07-151493
No image
12단계 원칙,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적용 가능
12단계 프로그램의 12단계: 이러한 단계로써 생활해본 결과, 우리는 개인적 각성을 경험했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 메시지를 전하려고 노력했으며, 우리 생활의 모든 면에서도 이러한 원칙을 실천하려고 했다.처음 아홉 단계는 하나님과 우리 자신 그리고 제3자와 평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기본적인 기술을 가르쳐주었다. 10단계와 11단계에서는 우리가 배운 새로운 기술을 날마다 실천하여 이러한 관계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을..
고병인교수2009-07-081448
No image
11단계: 나의 의지 내려놓고 기도 통해 하나님과 대화
12단계 프로그램의 11단계: 기도와 명상을 통해서 우리가 이해하게 된 대로의 신과 의식적인 접촉을 증진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우리를 위한 그분의 뜻만 알도록 해 주시며, 그것을 이행할 수 있는 힘을 주시도록 간청했다.하나님과의 관계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대화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기도와 묵상을 통해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갈 때 능력, 평안, 인도, 치유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대화를 소홀히 ..
고병인2009-06-191576
No image
10단계:지금까지 배운 것을 날마다 '계속' 실천한다.
12단계 프로그램의 10 단계: 지금까지의 단계를 통해 배운 것을 날마다 계속적으로 실천한다.정원을 가꾸어 본 사람이라면 그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안다. 돌과 잡초를 제거하고 흙에 비료를 주어야 한다. 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벌레가 먹지 않도록 돌봐야 한다. 정원에 잡초가 생기지 않도록 계속 돌봐야 한다. 일단 정원에 잡초가 생기면, 잡초는 언제나 다시 자라기 쉽기 때문이다. 회복 역시 정원과 비슷하다. 우리의 삶은 파괴적..
고병인2009-06-121127
No image
9단계: 보상, "우리가 공의를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
12단계의 9단계: 다른 사람에게 해가 되지 않는 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그들에게 직접 보상했다.9단계는 우리가 해를 입힌 사람들을 파악하고, 준비할 시간을 적절히 가진 다음 우리가 입힌 해에 대하여 실제로 보상하라고 말한다. 8단계에서는 우리가 해를 입힌 사람의 명단을 만들었다. 9단계에서 우리는 이 명단에 있는 사람에게 직접 보상한다. 각각 어떻게 보상할지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보상하는 것은 단순히 사과하는 것..
고병인2009-06-041257
No image
8단계:우리가 해를 입힌 사람의명단 작성 후, 그들에게 보상하라
8단계: 우리가 해를 입힌 사람의 명단 작성 후, 그들에게 보상하라 12단계의 8단계: 우리가 해를 끼친 모든 사람의 명단을 만들어서 그들에게 기꺼이 보상할 용의를 갖게 되었다.처음 일곱 단계는 하나님(1-3단계), 그리고 우리 자신(4-7단계)과 더 평화로운 관계의 기반을 닦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제 8단계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더 평화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을 시작한다. 우리가 관계를 잘 관리하기 위해 사용한 여러 가지 전략들은 별로 도움..
고병인2009-05-28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