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기능가정은 가면을 쓰도록 부추긴다. 역기능가정은 감추어야 할 비밀을 가지고 있다. 가족들은 고통과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가면을 쓴다. 이런 가면은 성인이 되어서 가정을 떠났을 때에도 벗어버리기가 어렵다. 그는 계속해서 가면을 쓰게 된다. 그는 열심히 일한다. 그는 성공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성공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는 과도한 목표를 세워놓고 그것을 달성한 후에는 훌륭한 성취가 아니었다고 말한다. 목표를 성취한 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어. 누구든지 할 수 있었을 거야.” 성인아이는 그의 성공 여부가 자신이 쓰고 있는 가면에 달려 있다고 믿게 된다. 그의 가면은 성공의 일부분이다. 가면을 벗으면 사람들은 실제 그의 모습을 보게 될 것이고 그러면 그를 좋아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가면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어야만 한다. 만약 가면이 벗겨지면 그는 그 동안 얻으려고 노력해 왔던 모든 것을 잃게 될 것같이 느껴진다. 그는 실패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성인아이는 계속해서 가면을 쓰고 있으려고 열심히 노력한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가면을 유지하는데 더 많은 힘이 든다. 모든 일이 잘 될수록 이런 두려움은 더 커진다. 때때로 당신은 가면을 벗어버리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것은 너무 두려운 일이다. 때때로 당신은 가면이 벗겨질까봐 극도로 두려워한다. 당신은 다음과 같은 태도를 갖게 된다. “그래 나는 성공했어. 그러나 나는 위선자야. 만약 사람들이 나의 참모습을 본다면 매우 실망할 거야.” 역기능가정은 착한 아이들을 존경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에게는 착한아이, 영웅, 모범이 되는 역할, 존경의 대상이 필요하다. 역기능가정에서 중심이 되고 있는 가족들은 권위를 가지고 있는 인물들과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극도로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녀들 중의 하나가 다른 어른에 대해서 존경심을 표시할 경우 위협을 느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역기능가정은 성공한 사람들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한 사람들은 겉보기와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행해진다. 그들은 위선자들이고 말한 것을 실천하지도 않으며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훌륭하지도 않다고 가르친다. 물론 인간이기에 그들에게도 결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경쟁상대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들은 모범이 되는 역할로는 자격이 있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 성공하게 되면 이제 그는 가족의 저녁식사 시간에 비난을 받던 그러한 위선자들 중의 하나가 된다. 그는 성공하고, 뛰어난 인물이 되고, 가정의 수치를 씻기를 갈망해 왔다. 그러나 몇 가지의 성취를 달성한 후, 그는 자라왔던 가정의 관점에서 볼 때 위선자요, 과대평가되었던 사람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결국 그는 성공에 대해서 양면적인 감정을 갖게 된다. 이런 감정을 가진 성인아이는 다음 단계의 성취를 앞두고 주저하게 될지도 모른다. 역기능가정은 중심이 되는 한두 가족의 감정에 맞추어 살아간다. 역기능가정에서 아이의 감정은 정서적으로 결핍된 가족의 감정과 연결되어 있다. 아이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나는 아버지가 행복할 때까지 행복할 수 없어. 그런데 문제는 아버지가 좀처럼 행복해 하는 일이 없다는 거야.” 다음 단계의 생각은 “어쩌면 내가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릴 수 있을지 몰라.” 아이는 착한아이나 광대가 되어서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리려고 시도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착하고 예쁘고 말 잘 듣는 “작은 공주”가 되어서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리려고 노력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해서 아이는 마치 헤어 나올 수 없는 그물에 빠진 격이 된다. 참고: 팀 슬레지 '가족치유?마음치유' , 존 브래드쇼 '내면아이의 치유' 데이비드 시멘즈 '기억을 통한 정신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