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칼럼

제목온선칼럼-문찬우 목사2015-01-22 10:05
작성자 Level 8

궁극공간(窮極空間)
마가복음 1: 35

고(故) 김수근(金壽根, 1931 - 1986)은 한국이 자랑하는 건축가입니다. 그는 한국 현대 건축사에서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담아 건물을 만든 ‘최초의 작가주의 건축가’로 불립니다. 그가 만들어낸 건물들 가운데 우리에게 친숙한 것들을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워커힐 힐탑바(1961), 자유센터(1963), 부여박물관(1967), KAIST 본관(196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음악대학(1974), 서울올림픽 주경기장(1977), 문예회관 전시관 및 공연장(1978), 국립청주박물관(1979), 불광동성당(1985), 지하철 경복궁역사(1985), 서울지방법원청사(1986), 올림픽공원의 체조경기장과 수영장, 그리고 자전거경기장(1986) 등. 그리고 무엇보다 김수근 건축의 백미로 여겨지는 두 건물, 자신의 건축설계 사무소로 세운 공간사옥(1971)과 한국 기독교 최고의 건축이라 일컬어지는 경동교회(1980)입니다.

김수근의 건축에는 세 가지의 철학적 특징이 나타납니다. 첫째는 20세기 후반에 탄생한 건축사조인 브루탈리즘(brutalism, 야성주의)입니다. 우아함을 추구하는 일반적 건축의 흐름 대신 거칠지만 기능에 충실했던 그의 건물들은 세련되기 보다는 거칠고 대범합니다. 그래서 인위적이지 않습니다. 땅과 하나로 어우러지는 자연미가 있습니다. 둘째는 네거티비즘(negativism, 부정주의)입니다. 그는 건축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 낳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인간의 창작이 자연, 인간, 사회 등의 대상에게 오히려 폐해(弊害)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무조건 비싼 건물을 짓는다고 세상이 아름다워지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던 그의 생각은 그 자신의 작품들을 더욱 자연친화적이고, 인간적이고, 사회적이도록 채근했습니다.

셋째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그의 건축철학의 기둥은 바로 궁극공간(窮極空間, ultimate space)입니다. 궁극공간이란 특별한 기능을 지니지 않은 공간으로서, 쉼과 사색을 위한 자리입니다. 산업화시대 이후 일반적으로 인간에게는 두 가지의 공간만이 존재했습니다. 먹고 자는 등의 기본적 생활을 위한 제 1의 공간인 집, 그리고 생산 및 사회 활동을 하는 제 2의 공간인 일터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인간됨이란 직업인, 가장, 주부, 학생 등의 기능적 의미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의 실존적 의미가 존재합니다. 기계가 아닌 인간은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의 존재를 생각하며, 삶을 관조하며, 시공을 초월한 이상을 꿈꾸는 시간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김수근의 주장입니다.

성경을 보면 놀랍게도 예수님께서는 집은 없으셨지만 궁극공간은 소유하고 계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가복음 1장에“새벽 오히려 미명에 예수께서 일어나 나가 한적한 곳으로 가사 거기서 기도하시더니.”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현실과 일터를 떠나 영원한 본질과 마주하는 제 3의 공간을 가지고 계셨던 것입니다. 우리에게도 이런 한적한 시간과 궁극공간이 있어야만 합니다. 고요한 나만의 자리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자아를 만나고 삶을 관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의 삶 속에, 나는 누구이며 어디에 서 있는지, 왜 살아가고 있는지, 내가 가야할 곳은 어디인지에 대해 묵상하는 자리가 없다면 우리는 참된 인간으로 살아가기 어렵습니다. 찌든 영혼이 정결하게 되고 새로워지는 체험을 하는 자리인 궁극공간. 지금 당신의 궁극공간은 어디에 있습니까?

온선교회 담임